2022년 5월 19일 목요일

로마서 성경공부 05

 5. 믿음으로 의롭게 됨 (로마서 4 1 – 25)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 (마태복음 1:1, 신약의 시작 구절)

 

A.  아브라함의 믿음불확실성의 극복

 

창세기 15(하나님의 약속) - 자손이 하늘의 별처럼 많아진다. 땅을 소유하게 된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니, 하나님께서 그것을 의로움으로 인정 ( 15:6)

아브라함의 믿음의 첫 여정: 갈대아 우르(Ur)에서 시작되어 하란 (아버지 데라의 죽음)을 거쳐 가나안까지 ( 11:31 – 12:4, 사도행전 7:2-4, 11:8-9)

 

우르(Ur); 당시 최고의 문명국가인 바벨론의 중심도시 (함무라비법전, 지구라트, 공중정원)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 순종하여 장래 기업으로 받을 땅에 나갈새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갔으며 ( 11:8)" – 이 세상에서의 나그네 인생; 영원한 하늘나라를 소망

 

B. 다윗의 죄사함 - 불완전성의 극복

 

시편 32 (죄의 용서) - 주께서 죄 없다 인정해 주시는 사람은 복이 있다.

다윗이 밧세바와의 간음과 살인을 저지른 후 용서받음, 다윗왕가의 영원한 통치 즉 후손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통한 전 인류의 구속사적 사건을 약속하심 (다윗 언약)

 

유대인의 자부심; 1) 아브라함과 다윗의 후손, 2) 할례받음, 3) 율법 (모세 5)이 주어짐

바울의 반대주장; 1) 육신이나 행위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없다, 2) 아브라함은 무할례시에, 율법이 있기전에 의롭다 함을 얻었다, 3) 율법은 미완성이다. 진노를 이루게 한다( 4:15)

 

C. 나를 위한 하나님의 약속 - 구원은 현재 진행형이다.   

 

아브라함이나 그 후손에게 세상의 후사(seed, heir)가 되리라고 하신 언약 ( 4:13)”

네 씨(seed)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얻으리니 (22:18)"

- 하나님의 언약적 정의( 3:16);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구원의 길을 계시하심. 하나님은 세계의 창조자시며 심판자로서, 온 세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고 그것을 다스리고 새롭게 하시고자 하신다 (톰 라이트)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는 우리가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할때 그리고 그 분이 하시는 일을 단순히 받아들일때 이루어진다. 이방인이나 유대인이나 구별이 없다. 아브라함은 육신의 조상이 아니라 믿음의 조상이다. ; hoping against hope (소망이 없는 중에도 소망함)

 

독생자 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 (아케다, 결박) - 예수그리스도의 예표

아브라함의 믿음은 그것이 가능해서가 아니라, 그 상황의 터무니 없음 (부조리)을 이해할 능력이 없었고, 그것을 견딜 만한 힘이 그에게는 전혀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은 실로 믿을 수 없는 것을 믿었습니다 (하나님의 선하심을 선택하는 자기 체념적 결단, 키에르케고르).

저가 하나님이 능히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줄로 생각한지라 (11:19)”

그의 믿은 바 하나님은 죽은 자를 살리시며 말씀으로 무에서 유를 만드심 (4:17)”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 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4:25); 아브라함과 다윗의 의로움은 바로 나의 의로움의 약속이다.

 

자기 자신마저도 용납할 수 없는 인간을 하나님은 용납하십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은혜  (Grace)입니다. 은혜를 소망하는 용기 (Courage)가 바로 믿음입니다.

2022년 5월 12일 목요일

로마서 성경공부 04

 4. 하나님의 한 의 (로마서 3:9 – 31)

 

재판을 맡은 판사가 법정에서 원고와 피고에게 최종적으로 판결을 할 때처럼 바울은 로마서 서론부분의 마지막에서 다윗의 시편을 계속 인용하며 전 인류의 타락상을 요약 설명한다.

 

A. 전 인류는 죄인이다.

시편 14:1 – 어리석은 사람은 마음 속으로 하나님이 없다하는구나.

시편 14:2 – 주께서는 하나님을 찾는 사람이 있는지를 살펴보신다.

시편 5:9 – 그들의 목구멍은 열린 무덤, 혀는 언제나 아첨만 일삼는다.

시편 59:7-8 – 그들은 입에 악독을 머금고, 입술에는 칼을 물고서

시편 36:1 – 악인의 눈에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기색이 조금도 없습니다.

 

결론: 모든 입을 막고 (법정 행위, 유죄가 확정된 죄인은 아무런 변론도 하지 못함), 하나님 앞에서 유죄임이 드러남. 율법의 행위로 의롭다 함을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율법은 죄를 드러나게 하는 거울의 역할

 

B. 예수 그리스도안에 있는 구속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의로움

 

But now GOD’s way of putting people right with himself has been revealed.

"그러나 이제"; 성경에서 가장 극적인 전환의 표현. 이전의 언약들 (노아, 아브라함, 비느하스, 다윗과 세운 조건적인)과는 완전히 다른 새 언약의 성취

 

       *새 언약 (예레미야 31:31-34)

인간의 욕심으로 모든 언약이 파기되었지만, 이스라엘의 모든 죄를 용서하고 새로운 관계를 세우겠다는 무조건적인 신적 약속;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로 완성됨.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고린도전서 11:25)’, ‘우리 주 예수를 영원한 언약의 피로 죽은 자 가운데 이끌어내신 평강의 하나님 (히브리서 13:20)’- 완벽함, 반복적인 제사의 불필요

 

*구속 (redemption) ( 3:24); 세상을 향한 사랑의 절정 ( 3:16)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죄인인 인류를 죄가 없다고 무조건 선언하실 수 없다. 하나님께서는 예수님 (죄 없으신 하나님의 어린 양)을 십자가에서 죽이심으로 (인류의 죄값) 비로소 우리들을 죄가 없다고 선언하셨다. 또한 부활하신 예수를 주(그리스도)로 시인하면 우리를 의롭다 칭하신다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하나님나라의 임재-신이 인간세상으로).

 

*의롭다 하심 (칭의, justification, 3:28)- 미래적 판단의 현재적 성취 (복음의 핵심) 

언약에 신실하신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복음을 신뢰하는 우리들도 역시 의롭다고 판결하셨다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 free gift). 이로 인해  우리에게 영생이 주어졌고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되었다. (이 원리는 인간의 지식과 경험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비이다).

 

하나님께서 이 예수를 사람에게 속죄제물로 주셨습니다. 누구든지 그 피를 받으면 속죄함을 받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하신 것은, 사람들이 이제까지 지은 죄를 너그럽게 보아 주심 (overlooked) 으로 자기의 의를 나타내시려는 것입니다 ( 3:25)”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습니다. 이제 사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사시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육신 안에서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셔서, 나를 대신하여 자기 몸을 내주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2:20)”

 

우리는 아무것도 자랑 할 것이 없다. 의로움은 오직 믿음으로만 되어진다. 그 믿음으로 인해 율법은 도리어 굳게 세워진다 (율법의 완성- make them come true, 마태복음 5:17)

최근 글

세 가지 소망

    새 계명을 제자들에게 주신 예수님은 서로 사랑하라고 말씀하셨다 . 십계명으로 대표되는 옛 계명들은 그 원래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 믿음의 크기로 서로 비교와 정죄함 때문에 예수님으로 부터 꾸짖음의 대상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