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31일 월요일

죄를 사하시고 용서하시는 예수님 (John 8:1-11)

      이 사건은 요한이 쓴 복음서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이었지만, 후대에 초대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끝나고, 배교자들에 대한 용서의 필요성이 있게 된 후 추가된 내용이다. 이른 아침에 한 여인이 간음하다 현장에서 잡혀 오게 되었다. 남자 없이 연약한 여자만 잡혀 왔으며 이는 예수를 시험하기 위해 무리들에 의해 미리 계획된 범죄였다. 가련한 여인은 바로 우리의 모습이다. 우리들은 세상의 악함에 이용 당하며, 세상의 문화에 휩쓸려 죄를 짓는 약한 존재이다. 여인을 잡아 온 무리들은 이미 십계명을 어겼다 (이웃에 대해 거짓증거하지 말아라). 그들은 세상의 악에 대해 그것을 악이라고 말하는 예수를 죽이고자 했다. 자신들의 죄를 감추기 위해 모든 수단을 정당화하며 스스로 의롭게 보이고 싶어했다

 

    악인들은 그들을 악하다고 말하는 자를 미워한다.

 

     모두가 예수님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예수님은 모든 인류에게 선포하셨다. "나도 너를 정죄 (condemn)하지 않는다. 다시는 죄 짓지 말아라" 실패하고 유혹에 넘어지는 것은 죄가 아니다. 다시 일어나지 않고 극복하지 못하며,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죄이다. 예수님은 바로 나의 죄 때문에 십자가의 죽음을 앞두고 우리 모두를 용서하셨다.  

     죄사함 (delete)은 죄인이 죄에 대한 법적인 책임으로부터 벗어남을 뜻한다. 판결의 주체는 제 삼자, 즉 판사나 제사장의 몫이지만, 판사나 제사장은 죄로 인한 피해자가 아니므로 그 죄를 용서할 수는 없다. 죄의 용서 (forgive)는 도덕적, 사회적, 관계적 구속으로부터 해방됨을 의미하기에, 용서는 피해자의 몫이다. 반면 피해자에게 법적인 죄 사함의 권한은 없다. 진정한 죄 사함과 용서의 권한은 오직 예수님에게만 있다. 왜냐하면 그 분은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초월적 신성), 동시에 우리의 모든 죄와 고통을 체휼하시는 사람의 아들 (인성)이시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글

세 가지 소망

    새 계명을 제자들에게 주신 예수님은 서로 사랑하라고 말씀하셨다 . 십계명으로 대표되는 옛 계명들은 그 원래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 믿음의 크기로 서로 비교와 정죄함 때문에 예수님으로 부터 꾸짖음의 대상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