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성경공부 4 (히2:10-18) – 예수와 나는 한 형제
그리스, 로마 (헬레니즘, Man-made Gods) - 인본주의, 현세, 다신주의
(범신론), 개방성, 신은 불멸,
인간은 유한, 신과 인간은 구별됨, 세상은
신들의 놀이터, 인간과 유사한 감정을 가진 신들, 신이 되고 싶은 인간,
운명론, 신의 존재가 나의 삶에 근본적 변화를 주지 못함 - 인간이 만들어 낸 상상의 신
유대교 (헤브라이즘,
God-made man) - 신본주의,
내세, 유일신, 배타성, 선민의식, 절대적 존재, 자기 의, 자력 구원, 두려움의 대상 - 신의 존재가 삶에 족쇄가
됨
예수님의 성육신사건은
2000년전 일반적인 사상적
문화를 완전히 깨뜨렸다.
인간 실존: 피조물인 인간은 하나님이 되고 싶은 욕심으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짐 - 죄
하나님의 은혜: 창조주이신 하나님이 직접 인간의 모습으로 세상에 오셔서 가족이
되심 - 구원
인간의 타락 (스스로 선과 악을 구분, 하나님과 같아지려고 함)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방법
- 하나님이 인간이
되어 오셔서 속죄제물이 되시고 인간안에 내주하심: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 (태초부터 존재하신 말씀이 육신이 되어 세상에 오심)
1. 구원의 창시자
(개척자); 용기 (courage) - 열정
(passion)
2. 죽음을 극복
(고난당함); 순종 (obedience) - 희생 (sacrifice)
3. 대제사장
(자비롭고 충성스러움); 동정심 (sympathy) - 책임감 (responsibility)
하나님(만물을 창조하시고 보존하시는 분)이 그 예수님을 고난을 통해 완전케 하셨다 (2:10)
예수님 (거룩하게 하신 분)과
인간들 (거룩함을 입은 자들)이 한 형제임을 선포하셨다
(2:11)
내가 주의 이름을 내 형제들에게
선포하고 ---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자녀 (2:12)
-시편
22편 인용 (예수의 수난과 관련된 내용)
예수는 100% 인간성 (살과
피)을 지니셨기에 우리의 희생제물이 될 수 있었다 (2:14)
인간은 일생동안 죽음의 공포에서
종살이 하는 존재 (출애굽 당시의 상황)에서 해방됨 (2:15)
사람들의 일반적 질문 (HOW?) – 부정적 의도의 표현 (설명 불가능, 비신앙적 핑계)
어떻게 신이 사람의 육신으로
태어날 수 있는가? 어떻게 처녀가 잉태할
수 있는가?
어떻게 죽은 사람이 살아날
수 있는가? 어떻게 물이 포도주로 변할
수 있는가?
성경에 나오는 모든 믿지 못할
사건들의 가장 근본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있다. 사랑은 과학적으로 언어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사랑에 대한 유일한 반응은 놀라움과 감사뿐이다.
내가 해야 할 진짜 질문 (WHO?) - 존경과 놀라움의 표현
예수님의 능력을 보고 듣고
체험한 후 변화된 사람들의 반응
"그가
누구이기에 바람과 바다도 순종하는가" (막4:35-41)
도마의 고백 - "나의 주, 나의 하나님" (요20:28)
백부장의 고백 - "그는 진정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
(마27:54)
예수님은 누구인가? - 내가 평생동안 고민하고 묵상해야 할 질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인간 존재의 목적은 여호와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
예수님의 질문
-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 하느냐? 세례요한, 엘리야, 예레미야
우리는 우리가 보고 듣고 배운대로
예수님을 위대한 선지자, 역사적 인물로
여긴다.
그러나 예수님이 원하시는 대답은
내가 묵상하고 고백하는 예수이다.
-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마16:13-18) - 내 믿음의 이유를 고백해야 한다.
베드로: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은 이 믿음의 고백위에 교회를 세우신다. 다시 말하면 나의 믿음의 고백위에 교회가 세워진다.
(우리 몸은 거룩한 성전) 이 고백의 교회는 실패, 좌절, 눈물, 후회, 회개, 회복, 소망이 모두 혼재하는 곳이며 그러기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할 수 밖에 없는 거룩한 곳이다.
본 회퍼: 나를 위한 (pro-me)
그리고 우리를 위한 (pro-nobis) 존재이며 낮아지고 높아지신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