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새로운 형태의 율법; 생명의 성령의 법 (로마서 8장 1 – 17절)
바울의 최종 선언
So, (그러면) 우리가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롬 3:9-10)
But now, (그러나 이제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났습니다 (롬3:21).
Therefore, (그러므로) 그리스도 예수안에 있는 사람들은 정죄를 받지 않습니다 (롬8:1)
- 나의 행위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한 계획 때문에
- 생명의 성령의 법이 우리들을
죄와 죽음의 법에서 해방시켜 주었기 때문에 (8:2)
- 하나님께서 생명을 주시기 위해
자기 아들과 성령안에서 행하셨기 때문에 (8:3)
- 성령을 따라 사는 우리에게
율법이 요구하는 것을 완성시키고자 하시기 때문에 (8:4)
율법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율법을 죄를 인식하게 하는 순기능이 있다.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로 그 죄는 용서받았고, 궁극적으로 우리를 의와 거룩으로 이끈다. 이때 우리는 온전히 하나님께 나아간다. "너희도 거룩하라 (레위기
11장)."
생명의 성령의 법
|
죄와 죽음의 법
|
성령에 속한 것을 생각
|
육신에 속한 것을 생각
|
생명과 평화
|
죽음, 적대감
|
하나님께 빚진 자 (속량)
|
육신에 빚진 자 (죄)
|
성령으로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산다.
|
육신을 따라 살면 죽음
|
하나님의 자녀, 상속자
|
노예의 영
|
복음의 핵심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하나님)
육신이 연약하므로, 율법이 할 수 없던 것을 하나님께서 하셨습니다. 곧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의 모든 죄를 속하여 주시려고 (속죄제물), 자기의 아들을 죄된 육신을 지닌 모습으로 보내셔서, 육신에 죄를 정하셨습니다. 그것은 육신을 따라 살지 않고 성령을 따라 사는 우리에게서, 율법이 요구하는 바가 완성되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롬 8:3-4)
번제; 동물을 태워서 드리는 제사, 예배때
드려지는 일반 제사 (Holocaust, 아벨)
소제; 곡식을 드리는 제사로 번제와 함께 드려지는 일반 제사 (가인)
화목제; 특별한 서원이나 감사를 표현할 때 드리는 제사
속죄제; 알지 못하거나 (잘못이란 사실을 모른 채) 본의 아니게 저지른 죄
속건제; 하나님께 드려진 예물을 잘못 사용하거나, 계명을 어겼을 때, 신실하지 못한 죄
하나님의 자녀 (영생의 선물)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주셨으니 (요1:12)
성령은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임을 증언한다. 자녀이면,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롬 8:16-17)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1. 그리스도와 함께 영광을 받음;
그리스도의 세상 통치에 참여 (하나님의 나라)
2.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을 받음;
그리스도의 남은 십자가를 져야 한다 (고난)
3. 우리는 하나님께 빚진 자;
은혜로 받은 구원이기에 은사를 나누어야 한다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