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28일 수요일

로마서 성경공부 09

9. 인간이 처한 실존의 문제 (로마서 7 1 – 25)

 

철학적 질문: 인간은 존재하는가? 보편타당한 진리는 무엇인가? 인간의 이성은 선과 악을 구분할 있는가? 인간은 의지적으로 육체적 한계를 극복할 있는가? 신은 존재하는가? 불완전한 피조물인 인간의 사고와 지식, 경험으로는 완전한 존재이신 하나님을 이해할 없다. 인간에 의한 신의 존재 증명은 무의미하며 불가능하다 (칸트).

 

"네가 누구이기에, 무지하고 헛된 말로 지혜를 의심하느냐?" (욥기 38:2)

Who do you think what you are? You disagree my plan without any knowledge.

 

율법은 오직 죽을 육체에만 지배력이 있다. 나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었다. 율법은 이상 나를 지배할 없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태어났고, 예수에게 속하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려는 하나님의 지혜로운 계획이다 ( 7:4-6). 

 

그러나 여전히 죄의 문제는 나를 괴롭히고 있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있을까?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 19:16)     

 

첫번째 상황; 율법은 우리를 얽매어 버리고 죄의식을 갖도록 만들었다. 우리가 육신에 있을때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중에 역사하여 ( 7:5) -  율법이 (나쁜 )?

바울의 설명) 아니다. 율법 자체는 옳고 그름에 대한 분명한 지침을 주는 정당한 기능이 있다.  

 

두번째 상황; 생명에 이르게 계명이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다 ( 7:10) 율법은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오직 정죄의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그로 인해 모든 사람은 하나님으로 부터 스스로 멀어지게 되었다. (정체성의 상실) - 선한 것이 내게 사망이 되었나?

바울의 설명) 아니다. 나를 사망에 이르게 것은 율법이 아니라 바로 .

 

율법을 통해 하나님이 정말로 하시고자 하시는 것은 죄의 실체를 최대한으로 나타내고자 이다. (나는 스스로는 절대로 죄의 문제를 해결 없다, 죄는 실재하며 강력하며 결코 무시할 없으며 치명적이다); 아래 팔린 인간의 실존 ( 7:14)

 

세번째 상황; 내가 원하는 선은 행하지 않고 도리어 원치 아니하는 악은 행하는 도다 ( 7:19) 바울의 설명)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 악이 함께 있는 것이로다. ( 7:21)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리고 성령의 소욕은 육체를 거스리나니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 5:17)

 

인간의 실존: 오로라 나는 곤고한 (unhappy, end of rope, wretched)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나를 건져 누군가가 필요하다.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같은 일을 하실 있고, 하신다는 것입니다. 마음과 생각으로는 하나님을 섬기고 싶어 하지만 죄의 세력에 끌려 전혀 엉뚱한 일을 행하는 우리의 모순 가득한 속에 들어오셔서, 분은 모든 것을 바로 세우는 일을 하셨습니다. (유진 피터슨)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최근 글

세 가지 소망

    새 계명을 제자들에게 주신 예수님은 서로 사랑하라고 말씀하셨다 . 십계명으로 대표되는 옛 계명들은 그 원래의 의미는 없어지고 그 믿음의 크기로 서로 비교와 정죄함 때문에 예수님으로 부터 꾸짖음의 대상이 되었다 ...